[책] 박상미, 뉴요커, 마음산책, 2004.

* 2005년 1. 21. 금. 강남교보.


금요일 저녁.

서점에 쪼그리고 앉아 있으면 책 한 권 정도는 다 읽고 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기웃거리다가 눈에 들어온 책이다.

뉴요커. 내게 무슨 뉴욕에 관한 특별한 관심이 있다거나 반드시 읽어야 하는 어떤 절박함 때문에 이 책을 집어든 것은 아니다. 게다가 나에게는, 내가 잘 알지 못하는 서구의 어느 도시- 예컨대 뉴욕이나 파리, 프라하 같은-에 대해 특별한 열망을 갖는 일이란 ‘값싼 낭만’이라고 생각하는 ‘겉멋’도 있다.

 

물론 나도 많은 사람들이 동경한다는 뉴욕에 관한 일반적인 통념 정도는 그릴 수 있다.

욕망 가득한 허기진 예술가들이 몰려드는 곳. 혹은 몰려가고 ‘싶어하는’ 곳.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가 갖는 느낌 – 일반적인 ‘미국문화’와는 뭔가 다른 질감이 느껴질 것만 같은 도시.

빽빽한 고층빌딩. 수직의 도시.

하지만 그 누구에게도 아닌 나에게 뉴욕은, 좀 사적인 느낌으로 다가온다. 내게 뉴욕이라든지 유럽이라든지 하는 곳들은 ‘갑갑한 속옷 없이 얇은 끈 원피스 하나만 걸치고 다닐’ 장소들이다.
한국에서 그럴 수 있으면 더없이 좋으련만. 아무튼. ㅎㅎ

이 책은 저자(박상미)가 뉴욕의 공장지대에서 화가로 살면서 느낀 뉴욕의 욕망, 뉴욕의 땀냄새, 뉴욕의 그림 같은 것들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글 전체적으로 느껴지는 특유의 예민함 같은 것이 내 코드의 한 구석과 맞았고, 나는 모퉁이에 쪼그려 앉아서 ‘사지도 않고’ 다 읽고 왔다.

다 생략하고, 이 책이 내게 남긴 가장 강렬한 이미지는 지금은 없어진 쌍둥이 빌딩 꼭대기를 밧줄로 연결해서 그 위를 걸어가고 있는 한 남자를 담은 흐릿한 흑백사진이다. 단지 걷는 것을 사랑할 뿐이라는, 줄 위를 걷는 남자 필립 프티.
도저히 현실적인 높이라고는 말할 수 없는, 소름끼치게 높은 두 건물 위에 밧줄 하나를 걸고 걸어가는 ‘점’처럼 작고 연약해 보이는 인간.
모르겠다. 그 점처럼 작고 연약해 보이는 남자의 사진 하나가 나를 사로잡았다. 저자는 한참 ‘내가 예술가가 되어야 하는 이유’에 답해야 하는 절박한 시기에 강렬하게 다가온 남자라고 했다.

나는 왜 이 사진 앞에서 두근거렸을까. 나는 지금 어떤 시기를 지나고 있는 것일까. 내게도 어떤 절박함 같은 것이 있는 것은 분명한데, 나는 아무것에도 답할 수가 없다.

 

Comments on this post

No commen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Trackbacks and Pingbacks on this post

No trackbacks.

TrackBack URL